No Result
View All Result
Monday, December 11, 2023
미주뉴스
  • HOME
  • NEWS
    • 정치/사회/이민
    • 경제/비지니스
    • 교육/과학/기술
    • 생활/쇼핑/건강
    • 문화/예능/여행
  • HOT
    • 미주뉴스
    • 한국뉴스
  • PEOPLE
  • BUSINESS
  • JOB US
  • COMMUNITY
    • 자유게시판
    • 구인 구직
    • 사고팔고
No Result
View All Result
  • HOME
  • NEWS
    • 정치/사회/이민
    • 경제/비지니스
    • 교육/과학/기술
    • 생활/쇼핑/건강
    • 문화/예능/여행
  • HOT
    • 미주뉴스
    • 한국뉴스
  • PEOPLE
  • BUSINESS
  • JOB US
  • COMMUNITY
    • 자유게시판
    • 구인 구직
    • 사고팔고
No Result
View All Result

미주뉴스

미주뉴스
No Result
View All Result
Home News

긴축한파 더 춥고 오래간다…4%대 기준금리, 9%대 대출금리 눈앞

은행권 "미국 따라 한은도 내년 상반기까지 올릴 것"…최고 4.5% 전망까지 , 경제 취약부분 터질 가능성↑…'세계 최대 수준 부채' 가계·기업, 속속 한계

Miju News, 미주뉴스 by Miju News, 미주뉴스
November 5, 2022
Reading Time: 1 min read
0
긴축한파 더 춥고 오래간다…4%대 기준금리, 9%대 대출금리 눈앞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

당초 예상보다 기준금리와 대출금리가 더 높은 수준으로,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더 오래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이번 인상 사이클의 최종금리 목표를 기존 4%대 중후반보다 더 올리겠다고 밝혔기 때문인데, 은행권은 이 경우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내년 상반기 4%를 넘고 대출금리도 8%대까지 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긴축 한파가 더 춥고 오래 지속되면, 이미 경제 규모(국내총생산·GDP) 대비 세계 최대 수준의 부채를 짊어진 국내 가계와 기업들이 빠르게 불어나는 이자 부담으로 속속 한계에 이를 것으로 우려된다.

긴축한파 더 춥고 오래간다…4%대 기준금리, 9%대 대출금리 눈앞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미국 기준금리 5% 넘으면 한은 4%까지 올릴 가능성”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은 1∼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한 뒤 “이제 금리 인상 속도보다는 최종 금리 수준(how high)과 지속 기간(how long)이 중요하며, 이전 예상보다 최종 금리 수준은 높아졌다”고 밝혔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기존 예상보다 다소 천천히, 하지만 더 높은 수준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더 오래갈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이에 따라 지난 9월 점도표(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수준 전망을 표시한 도표)에서 4.5∼4.75%(중간값) 수준이었던 이번 금리 인상기 최종 금리 전망치가 다음 달 5% 안팎으로 상향조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씨티는 당장 최종 금리 전망치를 기존 5.0∼5.25%에서 이날 5.25∼5.5%로 높였다.

6일 시중은행 전문가들은 이처럼 미국의 기준금리 눈높이가 높아지면,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도 당초 예상대로 내년 초 3.50% 안팎(현재 3.00%)에서 멈추지 않고 상반기까지 이어져 낮게는 3.75%, 높게는 4.50%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조현수 우리은행 한남동금융센터 PB팀장은 “우선 이달 한은이 기준금리를 0.50%포인트(p) 인상한 뒤에도 계속 올려 내년 상반기 정점에 이를 것”이라며 “글로벌 정치·경제 등 변수가 있지만, 최종 금리가 최고 4.5%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박현식 하나은행 투자손님지원부 유닛리더도 “미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더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도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인상 사이클의 미국과 한국의 최종 금리는 각 5.00∼5.25%, 4.00∼4.25%로 예상됐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과거 한미 금리 역전기의 최대 금리차가 1.50%포인트였던 것을 고려하면, 미국 기준금리가 5.25% 이상으로 높아지는데 한은이 3.50%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멈추기가 부담스러울 것”이라며 “물론 최근 자금 경색 등 금융시장 불안이 변수지만, 미국 금리 수준 등에 따라 4.00%까지 급등할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미국의 피벗(완화 기조로의 전환)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운 분위기”라며 “이에 따라 한은도 최근 채권시장의 유동성 문제에도 불구, 1,420원대로 여전히 높은 원/달러 환율 등을 고려해 이달에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더 올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리나라 최종금리 수준은 내년 1분기 3.75%로 제시됐다.


[그래픽] 한미 기준금리 인상 전망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린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예상대로 오는 12월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금리인하 전환 고려는 “매우 시기상조”라며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면모도 동시에 보였다.

◇ 이미 대출금리 7%대 중반…”8% 돌파 머지 않았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은행의 예금 금리 등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나고, 결국 은행이 대출에 적용하는 금리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

현재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는 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 등 종류에 상관없이 약 13년 만에 모두 7%를 넘어선 상태다.

4일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와 고정금리는 연 5.160∼7.646%, 5.350∼7.374%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6.100∼7.550%, 대표적 서민 대출상품인 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보증·2년 만기)도 5.180∼7.395%로 이미 7%대 중반에 이르렀다.

만약 은행권 예상대로 기준금리가 지금(3.00%)보다 최소 1%포인트 더 뛰어 내년 상반기 4.00%를 넘어설 경우, 대출금리 상단도 8%를 뚫고 9%에 근접할 전망이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에 미리 기준금리 상승분이 선반영된 것을 고려해도, 0.5∼0.8%포인트 정도 대출금리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현재 대출금리 상단이 대체로 7%대 중반인 만큼, 최고 8%대 중반까지는 더 오를 수 있다는 뜻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도 “기준금리가 앞으로 예상대로 1.5%포인트 정도 더 오르면, 대출금리 상단은 8.5% 정도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 역시 “자금시장 불안까지 겹쳐 금융채 금리 등이 더 오르면, 현재 상단이 7%대인 대출금리가 일시적으로 8%대에 도달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 기준금리가 최고 4.0%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출금리 상단도 머지않아 8%를 돌파할 것”이라고 말했다.

[표] 시중은행 대출금리 추이


※ KB·신한·하나·우리은행, 채권정보센터 자료 취합

◇ 한번 빅스텝에 가계 6.5조·기업 3.9조 이자↑…자금경색은 전조, 줄파산 불가피

은행권의 분석과 전망을 종합하면, 지난 3일 파월의 발언 이후 올해 말 늦어도 내년 초께 미국이나 한국의 기준금리 인상 행진이 멈출 것이라는 기대는 사라졌다.

관측대로 기준금리가 당초 예상보다 1%포인트 가까이 더 높아지고, 인상 기간 역시 최소 내년 상반기까지 연장되면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취약한 부분부터 속속 한계에 이를 수밖에 없다.

최근 채권시장 중심의 자금 경색이 일종의 ‘전조’ 격인데, 채권시장에 돈이 잘 흘러들지 않는 이유도 사실 급격한 금리 인상이 근본적 원인 중 하나다. 채권 투자자들도 고금리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거나, 다른 곳에 돈을 굴려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으니 채권에 더 높은 금리를 원하고, 그 눈높이에 맞추지 못하는 회사채 등은 줄줄이 발행이 무산되는 식이다.

최근 2∼3년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불어난 가계와 기업의 신용(빚)도 언제라도 터질 수 있는 금융위기의 뇌관이다.

한은의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 신용(자금순환통계상 가계·기업 부채 합) 비율은 221.2%로 1분기(220.9%)보다 0.3%포인트 올라 또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국제금융협회(IIF)가 올해 2분기 기준으로 세계 35개 나라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한국은 102.2%로 불명예스러운 1위를 차지했다. 가계 부채가 경제 규모(GDP)를 웃도는 유일한 국가다.

GDP 대비 한국 비금융 기업의 부채 비율(117.9%) 역시 홍콩(279.8%), 싱가포르(161.9%), 중국(157.1%)에 이어 4위로 세계 최상위권일 뿐 아니라, 1년 사이 6.2%포인트(111.7→117.9%)나 뛰어 증가 속도가 베트남(+7.3%포인트·100.6%→107.9%)에 이어 2위였다.

한은과 대한상공회의소의 분석에 따르면 한 번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만으로 가계와 기업의 이자는 각 6조5천억원, 3조9천억원 불어난다.

지금도 원리금 상환에 한계를 맞은 가계와 기업이 속출하는데, 기준금리 인상 폭과 기간이 더 늘어나면 쓰러지는 가계·기업의 수도 급증할 수밖에 없다.

이미 금융부채를 진 38만여 가구는 현재 소득의 40% 이상을 힘겹게 원리금 상환에 쏟아붓고 있을 뿐 아니라, 유사시 집을 비롯한 보유 자산을 다 팔아도 대출을 완전히 갚을 수 없는 ‘고위험’ 상태다.

아울러 한은은 올해 기업 신용(빚)이 빠르게 늘어나는 데다 국내외 경기 둔화, 대출금리 인상, 환율·원자재가격 상승 등 경영 여건도 나빠진 만큼 한계기업(3년 연속 이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기업) 수와 차입금의 비중(금융보험업 등 제외한 전체 외부감사 대상 기업 대비)이 지난해 14.9%, 14.8%에서 올해 18.6%, 19.5%로 더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래픽] 주요국 가계 부채 비율
(서울=연합뉴스) 박영석 기자 = 30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으로 세계 35개 나라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102.2%로 가장 높았다.

Tags: 9%기준금리긴축한파대출금리
Previous Post

[영상] 지하 190m에서 천막짓고 불피우며 '희망' 놓지 않았다

Next Post

26년 만에 한인 3선 연방 하원의원 탄생하나

Related Posts

BTS RM·뷔 오늘 입대…”배움의 시기 동안 잠시 안녕”
News

BTS RM·뷔 오늘 입대…”배움의 시기 동안 잠시 안녕”

December 11, 2023
[영상] 애틀랜타 한인 골프협회,차세대 한인골퍼에 장학금 전달
News

[영상] 애틀랜타 한인 골프협회,차세대 한인골퍼에 장학금 전달

December 10, 2023
“사랑은 미안해할 필요없어”…’러브스토리’주연 라이언오닐 별세
News

“사랑은 미안해할 필요없어”…’러브스토리’주연 라이언오닐 별세

December 10, 2023
[영상]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MOU,청도군청,용산구청 방문…미주한상총연
News

[영상]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MOU,청도군청,용산구청 방문…미주한상총연

December 9, 2023
텍사스주 대법원, ‘예외적 낙태 허용’ 하급심에 제동
News

텍사스주 대법원, ‘예외적 낙태 허용’ 하급심에 제동

December 9, 2023
[영상] 2024년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전주 개최 지지,미주상공인총연합회
News

[영상] 2024년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전주 개최 지지,미주상공인총연합회

December 9, 2023
Next Post
26년 만에 한인 3선 연방 하원의원 탄생하나

26년 만에 한인 3선 연방 하원의원 탄생하나

[영상] 20년 세계한상대회 역사의 인물에게 공로패 전달

[영상] 20년 세계한상대회 역사의 인물에게 공로패 전달

Please login to join discussion

Sign up for newsletter 뉴스레터 신청

미주뉴스

© 2019 미주뉴스 - 미주 최대의 비디오 뉴스 플랫폼 Empowered by ApplaSo.

Navigate Site

  • HOME
  • NEWS
  • HOT
  • PEOPLE
  • BUSINESS
  • JOB US
  • COMMUNITY

Follow Us

No Result
View All Result
  • HOME
  • NEWS
    • 정치/사회/이민
    • 경제/비지니스
    • 교육/과학/기술
    • 생활/쇼핑/건강
    • 문화/예능/여행
  • HOT
    • 미주뉴스
    • 한국뉴스
  • PEOPLE
  • BUSINESS
  • JOB US
  • COMMUNITY
    • 자유게시판
    • 구인 구직
    • 사고팔고

© 2019 미주뉴스 - 미주 최대의 비디오 뉴스 플랫폼 Empowered by ApplaSo.